[자] 사순 제1주간 금요일
제1독서
<내가 정말 기뻐하는 것이 악인의 죽음이겠느냐? 악인이 자기가 걸어온 길을 버리고 돌아서서 사는 것이 아니겠느냐?>
▥ 에제키엘 예언서의 말씀입니다.18,21-28
주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21 “악인도 자기가 저지른 모든 죄를 버리고 돌아서서,
나의 모든 규정을 준수하고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면,
죽지 않고 반드시 살 것이다.
22 그가 저지른 모든 죄악은 더 이상 기억되지 않고,
자기가 실천한 정의 때문에 살 것이다.
23 내가 정말 기뻐하는 것이 악인의 죽음이겠느냐? 주 하느님의 말이다.
악인이 자기가 걸어온 길을 버리고 돌아서서 사는 것이 아니겠느냐?
24 그러나 의인이 자기 정의를 버리고 돌아서서 불의를 저지르고,
악인이 저지르는 온갖 역겨운 짓을 따라 하면, 살 수 있겠느냐?
그가 실천한 모든 정의는 기억되지 않은 채,
자기가 저지른 배신과 자기가 지은 죄 때문에 죽을 것이다.
25 그런데 너희는, ‘주님의 길은 공평하지 않다.’고 말한다.
이스라엘 집안아, 들어 보아라. 내 길이 공평하지 않다는 말이냐?
오히려 너희의 길이 공평하지 않은 것 아니냐?
26 의인이 자기 정의를 버리고 돌아서서 불의를 저지르면,
그것 때문에 죽을 것이다. 자기가 저지른 불의 때문에 죽는 것이다.
27 그러나 악인이라도 자기가 저지른 죄악을 버리고 돌아서서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면, 그는 자기 목숨을 살릴 것이다.
28 자기가 저지른 모든 죄악을 생각하고 그 죄악에서 돌아서면,
그는 죽지 않고 반드시 살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5,20ㄴ-2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0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21 ‘살인해서는 안 된다. 살인한 자는 재판에 넘겨진다.’고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22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자는 누구나 재판에 넘겨질 것이다.
그리고 자기 형제에게 ‘바보!’라고 하는 자는 최고 의회에 넘겨지고,
‘멍청이!’라고 하는 자는 불붙는 지옥에 넘겨질 것이다.
23 그러므로 네가 제단에 예물을 바치려고 하다가,
거기에서 형제가 너에게 원망을 품고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24 예물을 거기 제단 앞에 놓아두고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그런 다음에 돌아와서 예물을 바쳐라.
25 너를 고소한 자와 함께 법정으로 가는 도중에 얼른 타협하여라.
그러지 않으면 고소한 자가 너를 재판관에게 넘기고
재판관은 너를 형리에게 넘겨, 네가 감옥에 갇힐 것이다.
26 내가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네가 마지막 한 닢까지 갚기 전에는 결코 거기에서 나오지 못할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5,20ㄴ-2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0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21 ‘살인해서는 안 된다. 살인한 자는 재판에 넘겨진다.’고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22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자는 누구나 재판에 넘겨질 것이다.
그리고 자기 형제에게 ‘바보!’라고 하는 자는 최고 의회에 넘겨지고,
‘멍청이!’라고 하는 자는 불붙는 지옥에 넘겨질 것이다.
23 그러므로 네가 제단에 예물을 바치려고 하다가,
거기에서 형제가 너에게 원망을 품고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24 예물을 거기 제단 앞에 놓아두고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그런 다음에 돌아와서 예물을 바쳐라.
25 너를 고소한 자와 함께 법정으로 가는 도중에 얼른 타협하여라.
그러지 않으면 고소한 자가 너를 재판관에게 넘기고
재판관은 너를 형리에게 넘겨, 네가 감옥에 갇힐 것이다.
26 내가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네가 마지막 한 닢까지 갚기 전에는 결코 거기에서 나오지 못할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 최정훈 바오로 신부님
오늘 복음은 분노에 대하여 묵상하도록 우리를 초대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살인해서는 안 된다.”라는 십계명의 규정을 풀이하여 심화시키십니다. 바리사이들에게 의로움이란 조문에 쓰인 극단적 행위를 삼가는 것이지만, 예수님께는 그러한 행위로 나아가게 하는 싹을 잘라 버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이 계명을 ‘분노하지 마라.’, ‘분노를 한 사람과 화해하여라.’라는 뜻으로 풀이하십니다. 문자 그대로 살인만 금하는 것이 아니라, 살인의 원천이 되는 분노라는 감정까지 제어하라고 이르십니다. 그래서 이웃에게 성내는 것을 금지하시고, 나에게 원망을 품은 이들과도 화해하기를 바라십니다.
교부들은 분노를 두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첫 번째 분노는 오늘 복음에서 말한 분노로서 영혼이 굳는 병입니다. 이는 살인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그 뿌리마저 뽑아 버려야 합니다. 그러나 다른 분노도 있습니다. 죄악과 불의 앞에서 일어나는 분노, 악으로 억압받고 고통받는 이들에 대한 사랑에서 솟아나는 분노입니다. 성전을 강도들의 소굴로 만든 것을 보시고 상을 뒤엎어 버리신 예수님의 분노나 구약에서 불의 앞에서 드러내시는 하느님의 분노가 이러한 분노입니다. 이 두 번째 분노는 이유가 있는 분노로, 성내지 않으면 오히려 죄가 되는 분노입니다. 무질서한 것을 올바르게 질서 잡으려는 분노는 정당합니다. 이것은 정의와 사랑을 위한 ‘거룩한 분노’로 일컬어집니다.
지금 나에게 분노가 일어났을 때, 그것이 이기심에서 오는 분노인지, 의로움을 지향하는 분노인지 식별하여야 합니다. 불의 앞에서 분노하지 못하는 것은 덕이 아니라, 죄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거룩한 분노일 때도 그 분노의 부정적인 감정에 잠식되어 자신을 스스로 파괴하지 않으려면, 모든 것을 하느님께 맡겨 드리는 겸손도 함께 지녀야 하겠습니다.
'가톨릭 > 매일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미사] 사순 제2주일 (나해) (0) | 2024.02.24 |
---|---|
[매일미사] 사순 제1주간 토요일 (나해) (0) | 2024.02.23 |
[매일미사]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나해) (0) | 2024.02.22 |
[매일미사] 사순 제1주간 수요일 (나해) (0) | 2024.02.22 |
[매일미사] 사순 제1주간 화요일 (나해) (0) | 2024.02.22 |